사회 초년생을 위한 2025년 청년버팀목 전세 대출 완벽 정리 💸
오늘은 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청년버팀목 전세 대출 조건과 꿀팁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❗ 중소기업 청년 전세 대출, 이제는 청년버팀목으로 통합
예전 ‘중기청 전세 대출’은 더 이상 운영하지 않아요.
2025년부터는 청년버팀목으로 통합되면서, 기존 중기청 조건과 혜택은 거의 그대로 유지됩니다.
Tip: 중소기업 재직자라면 청년버팀목에서 금리 0.3% 우대 가능!
✅ 청년버팀목 대출 조건 요약
나이: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
소득 요건: 연소득 세전 5,000만 원 이하 (1인가구 기준)
맞벌이/신혼가구는 상향 적용
자산 기준: 순 자산 3억 3,700만 원 이하
세대주 요건: 예비 세대주 가능 (부모와 따로 거주 예정이면 OK)
거주지 조건: 전용면적 85㎡ 이하, 보증금 3억 원 이하 주택 (단, 만 25세 미만은 60㎡ 이하)
💡 대출 한도와 금리 조건
최대 2억 원까지 가능 (만 25세 미만은 1억 5천만 원)
전세 보증금의 80% 이내까지만 대출 가능
금리는 연 1.5% ~ 2.1% (소득 구간에 따라 다름)
변동금리지만 거의 고정 수준으로 안정적
🏠 대출 가능한 집 유형
아파트, 다세대, 주거용 오피스텔 등
단, 가족 소유 주택은 불가
법인 소유는 조건부 가능 (부동산 임대업 등록된 경우만)
🔍 보증 기관 선택 꿀팁 (허그 vs HF)
HUG: 집 상태 위주 심사 / 보증보험 필수
HF: 신청자 소득·신용 위주 심사 / 보증보험 선택
추천: 소득이 낮거나 무직자 → HUG / 재직기간 길고 소득 명확 → HF
💳 상환 방식 & 기간
만기 일시 상환 방식
매달 이자만 납부 → 계약 종료 시 원금 상환
총 10년까지 이용 가능, 연장 시 만 34세 초과여도 가능
🏦 신청 가능한 은행
현재 기준으로 신청 가능한 은행은 7개 주요 은행입니다.
단, 이사 갈 집이 있는 지역의 지점에서만 신청 가능하니 참고하세요.
🎯 대출 신청 전 주의할 점
절대 미리 신용대출 받지 말 것!
신용 점수 하락 시 버팀목 대출 한도 낮아질 수 있음
은행 상담 필수!
청년버팀목 + 신용대출 동시 진행 가능한지 꼭 문의하세요